트라넥삼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두드러기 치료나 출혈을 멎게 할 목적 등으로 의료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1979년에 KANPAN의 개선효과에 관하여 문헌으로 보고되면서, KANPAN 치료용으로도 쓰이게 되었습니다(보험적용 외). 현재는 이 트라넥삼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KANPAN 개선을 목적으로 한 약도 OTC 의약품(일반의약품)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KANPAN에는 먹는 약이나 외용제 외에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만, 피부과 의사가 KANPAN 치료 시에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은 트라넥삼산의 먹는 약입니다.
트라넥삼산은 항염증ㆍ항알레르기 효과나 지혈효과를 가진 성분으로 습진, 두드러기, 편도염, 구내염, 지혈제 등의 치료에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이 효과를 통해 의료용 의약품으로서뿐만 아니라 종합 감기약이나 치약으로도 사용되는 등 우리 주위에서 활약하는 안전성이 확인된 성분입니다. 그리고 새롭게 KANPAN의 개선효과가 알려지게 된 후로는 KANPAN 치료를 위해 먹는 약으로 처방되어 온(보험적용 외) 실적이 있습니다.
KANPAN이 나타나는 구조를 살펴보면, 기미의 근원인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멜라노사이트 활성화 인자의 하나로, KANPAN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단백질 분해효소인 플라스민입니다. 항플라스민 작용을 지닌 트라넥삼산은 멜라닌이 만들어지기 전 단계에서 멜라노사이트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KANPAN의 발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라넥삼산을 주성분으로 한 의약품은 임상시험 결과, KANPAN에 대한 유효성이 인정되어 2007년에 OTC 의약품으로서 처음으로 KANPAN에 대한 효능을 취득하여 발매되었습니다. OTC 의약품은 전국의 약국ㆍ드러그 스토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노인성 색소반 등의 기미에는, 생성된 멜라닌을 제거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가 이용됩니다만, 실은 KANPAN에는 레이저 치료가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도한 자극은 KANPAN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져 레이저 치료의 경우, 이후의 염증성 반응으로 오히려 KANPAN이 악화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외선은 KANPAN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1년 내내 실내외 모두 자외선 차단은 필수사항입니다. 또한 스트레스와의 관계도 지적되고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이나 수면도 필요합니다.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생활도 유념해야 합니다. 또한 먹는 약으로 개선하고자 할 때는 용법ㆍ용량을 잘 지켜 올바르게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ANPAN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평소의 생활에서 할 수 있는 것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